행정학개론Ⅰ (Public AdministrationⅠ)

행정학에 처음 입문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행정학과 행정학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강대상은 행정학을 전공하는 1학년이며, 행정학에 대한 개론적 내용을 수업내용으로 한다.

행정학개론Ⅱ (Public AdministrationⅡ)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신입생들에게 행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행정의 개념, 구조, 기능, 담당자, 그리고 행정의 환경 및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접근방법 등을 강의하고자 한다.

빅데이터와 통계 (Big Data and Statistics)

강의는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며 실제 통계프로그램을 가지고 통계분석을 실습한다. 강의가 주를 이루며 실습은 각자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면서 진행한다.

행정조직론 (Administrative Organization)

조직이 사회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사람들은 직접 조직구성원이 되거나 간접적으로 조직에 관여하고 있다. 조직의 기초, 가치, 구조, 환경, 변화, 조직인의 행위, 조직의 과정과 관리 등 이론적 강의와 연구발표 등을 통해 조직에 대해 알아가는 교과목이다.

재무행정론 (Financial Administration)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은 곧 그 조직의 정책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예산의 편성과 집행을 통하여 그 조직의 모든 업무가 수행되기 때문에 분석은 조직의 운영에 필수적이다. 이에 예산 전반의 과정과 실제를 이해하게 하고 구체적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연습을 하게 함으로써 미래의 행정가로 성장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경험적 조사연구의 설계 원리와 분석 기법을 이해하고 익히는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과목 가운데 하나이다. 이 과정을 통해 개인의 편향(bias)을 줄이고 연구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리더십 (Leadership)

리더십에 대한 이론과 각종 사례를 동영상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리더의 자질을 향상 시켜 나간다.

도시행정론 (Urban Administration)

도시행정의 의의부터 도시행정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 범위 등의 내용부터 도시에 대한 이론적 접근, 도시 정부와 행정, 실제 등의 내용을 통해 도시 행정 분야를 숙지하고자 한다.

지방행정론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지방행정은 지방자치단체의 활동으로 나타나는 행정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지방정부(자치단체)가 중앙정부 및 주민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행정법 총론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모든 영역에 걸쳐 적용되는 일반이론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행정법의 가장 기본적인 일반이론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행정법 이해에 있어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교과목

행정법 각론 (Detailed Theory of Administrative Law)

행정법 일반이론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법, 공무원법, 경찰법, 공기업법 등 행정법의 개별영역을 연구를 목표로 한다.

정책론 (Policy Science)

국가정책을 이해하기 위해 정책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정부 정책의 이해는 행정학 교육이나 연구에 필수적이고 기초적인 과목이다. 아울러 정책에 대한 이해는 다른 사회과학의 이해나 일반 시민 생활의 영위에도 도움이 될 과목이다.

규제행정론 (Regulative Administration)

정부가 국민에게 가하는 여러 가지 규제와 관련하여 정부규제의 의의, 규제정책의 체계, 규제의 과정, 정책의 내용, 개혁 방향 등 학습하는 과목이다.

발전행정론 (Development Administration)

일반 강의형태로 발전이라는 주제를 부각시켜 조별활동을 진작시키는 강의를 운영하며 참가자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조별활동을 강조한다.

인사행정론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인사행정의 변천 및 이론들을 이해하고 정부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인사제도를 살펴보면서 사례 등도 함께 검토한다. “알기 쉬운 인사행정”을 바탕으로 동영상을 곁들여 수업을 전개하고 발표 등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스튜디오Ⅰ (Studio)

급변하는 시대의 지식과 기술이 진보하는 지식융합 기반 아래 4차산업 혁명 시대에 올바르게 예측할 수 있는 지식재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체득할 수 있게 교수와 학생, 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나가는 학습

스튜디오Ⅱ (Studio Ⅱ)

협력을 통해 산업체 기술과 지식을 활용한 교육과정이자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Public Sector에서 운영하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나가며, 이를 통해 실무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과목이다.

캡스톤 디자인Ⅰ (Capstone DesignⅠ)

연구 기획에서 발표까지의 전 과정을 함께 수행하며, 정책대안을 발굴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캡스톤 디자인Ⅱ (Capstone DesignⅡ)

학생들의 정책 문제 인식 및 대안개발까지의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수업이며 과정을 통해 능력을 키우기 위한 과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함

정책분석평가론 (Policy analysis evaluation theory of evaluation)

행정학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정책학 주요 이론 및 기법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의 과정으로 진행하는 과목

AI와 한국행정의 미래 (AI and the Future of Korean Administration)

한국행정을 설명하는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한국행정 현실(reality)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행정과 한국사 (Administration and Korean History)

한국사회가 발전해 나감으로써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학습하며, 공직시험에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고자 한다.

행정과 헌법 (Administration and Constitutional law)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의 역사, 기본원리, 기본권의 종류와 효력, 국가의 통치구조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